[김진영 방재관리 연구센터 이사장의 칼럼] [재난안전칼럼] 인류 재앙(災殃)
[김진영 방재관리 연구센터 이사장의 칼럼] [재난안전칼럼] 인류 재앙(災殃)
  • 우경원 기자
  • 승인 2020.03.10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진영 방재관리연구센터 이사장
▲김진영 방재관리연구센터 이사장

필자는 재난 안전 전문가다. 10여 년 전부터 인류에게 위해를 줄 수 있는 재난을 화두로 올리곤 한다. 더 나아가서는 인류의 종말을 가져오는 재난이 다가오고 있다고 감히 얘기한다. 각종 재난으로 피해를 보았을 경우 지금까지는 통상 재해, 피해로 표현했다. 언젠가부터는 이를 재앙이라는 용어로 쓰기 시작했다. 더 나아가 지진으로 건물이 무너져 인명피해가 나면 건축공학도의 학살, 교량이 붕괴돼서 인명피해가 나면 토목공학도의 학살이라는 말이 서슴치 않게 나온다. 이와 같은 선상에서 볼 때 핵, 기후변화, 전염병으로 자국민이 죽으면 각 통치자의 학살이라는 용어가 안 나온다는 보장이 없다. 그만큼 국민들의 생명을 담보로 일하고 있는 통치자와 해당 분야별 전문가의 역할과 책임이 더 무거워 지고 있다.

인류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요소들은 얼마든지 많다. 매스컴에 수시로 오르락거리는 핵전쟁, 생화학전, 기후변화, 생태계 붕괴, 전염병, 소행성 충돌, 슈퍼화산 분화, 태양지구학, 인공지능(AI) 등이 그들이다. 그러나 본인은 핵전쟁, 기후변화, 전염병 등은 현실적으로 우리 곁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주장하곤 한다.

먼저 핵전쟁이다. 전문가들도 핵전쟁이 일어날 확률이 점점 높아진다는 데 의견을 일치하고 있다. 핵전쟁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고하는 1945년에 일본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폭이 최초이자 마지막이다. 이로 인해 36만 명이 사망했다. 아직도 낙진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은 ‘산 사람이 죽은 사람을 부러워한다’고 한다. 인명과 도시를 완전히 파괴하는 핵전쟁의 가능성은 아직도 남아있고, 방사능 질병의 위험은 언제까지 갈지도 모른다. 그래서 지구의 축소판 빙하시대라고도 한다. 핵발전소의 방사능 유출 사고도 핵전쟁에 버금간다. 1986년 체르노빌 원전사고,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지역에서는 사고 시점을 기준으로 1,000년이 지나야 생물이 정착한다고 하니 핵전쟁이 인류에 위해가 아닐 수 없다.

기후변화를 보자. 기후변화는 여러 가지 형태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다만 서서히 오기 때문에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는 게 문제다. 기후변화가 우리 일상을 침해하고 있음에도 느끼는 감각은 둔하다. 단순히 기온이 올라가거나 내려간다는 표현으로 일축한다. 기후변화가 인류를 위협하는 데에는 설득력이 있다. 지구 온난화로 20세기 기준 평균기온이 섭씨 3도가 올라가면 뉴욕 등 세계 주요 해안 도시가 수몰되어 10억 명 이상이 이주해야 한다고 하면서 인류문명의 종말을 맞을 가능성을 비쳤다. 그런데도 인류의 생존권과 삶의 터전이 서서히 위협받고 있다는 생각은 뒷전이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잘 알면서도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는 이유다.

전염병(바이러스)은 어떤가. 필자는 전염병이 인류에게 최악의 위해 요소라고 본다. 14세기에 창궐한 페스트(흑사병), 15세기에 전염된 스페인 독감, 17세기에 발발한 천연두, 19세기에 발병한 콜레라, 20세기에 나타난 에이즈 등으로 수억에서 수십억 명이 죽었다. 중요한 건 이러한 변종 바이러스가 번져 치명상을 입힐 때까지 백신 개발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거나 개발이 안 된다는 것이다. 
2003년 사스(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신종 플루),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코로나19(우한 페렴) 등도 아직 백신을 개발하고 있음을 보면 알 수 있다. 전염병 전파 매개체가 지금까지는 접촉, 호흡기를 통해서 전염됐지만, 공기를 통해 확산하는 전염병이 발생한다면 천문학적인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감염 경로나 형태가 다양해지면 그만큼 예방이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도 콜레라, 천연두 등이 역사를 새롭게 썼다는 기록이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다음 해인 1593년 남해안 일대에 번진 콜레라로 이순신 장군 휘하 조선 수군의 사망자가 전투 중 전사자보다 몇 배가 더 많았다. 1683년에는 조선왕인 숙종이 천연두에 걸려 사망함으로써 장희빈이 등장했다.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전염병 발생 건수가 1,500여 건임을 볼 때 매년 2~3개 이상이 발병했다고 볼 수 있다.

핵전쟁, 기후변화, 전염병 등의 재앙이 인류를 위해 하고 있다. 특히 전염병에 대해서는 독일 뮌헨 안보 콘퍼런스에서 행한 ‘빌 게이츠'의 연설이 회자된다. 언론들은 “전염병이 핵폭탄보다 훨씬 위험하다. 자연 발생적이든 생화학 테러에 의한 것이든 전염병은 수십억 명을 죽일 수 있다”라고 강조한 빌 게이츠의 선견지명을 찬탄한다. 하지만 그의 연설의 핵심은 바이러스 퇴치를 위한 지구적 보건시스템을 구축하자는 것이다. 세계가 핵 억제력에는 많이 투자하지만 전염병 대비엔 적게 투자한다는 것이다. 그는 바이러스로 인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전쟁에 대비한 워 게임(war game)처럼 세균 게임(virus game)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핵전쟁, 기후변화, 전염병은 어느 한 나라에 국한하지 않는다. 이는 전 지구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코로나19’도 그렇다. 손 씻고, 마스크 착용하고, 환자를 격리하는 것은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물론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이 최우선이다. 전염병이 발발할 때는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 간 정보를 공유하고 치료 시스템이 가동되어야 한다. 그간의 수혜를 누리고 있는 선진 강국들의 과감한 재정적 지원과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만이 인류를 재앙에서 구해낼 수 있다. [영종뉴스 우경원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